■ 진행 : 변상욱 앵커, 안보라 앵커 <br />■ 출연 : 국철희 / 서울개인택시조합 이사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에는 택시업계 입장 들어볼까요. 개인택시사업 운송조합 국철희 이사장이 지금 연결되어 있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이사장님. 이번 개편안이 택시업계와 플랫폼업계 사이에 충분한 협의가 이뤄져서 잘 나온 결과라고 보십니까? <br /> <br />[국철희] <br />상당한 협의가 있었고요. 비주류, 소수 모델인 타다 외에는 상당히 의견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차를 전부 다 새로 사라고 하는 렌터카 불허에 대한 의견은 너무 부담스럽다고 하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? <br /> <br />[국철희] <br />약간 오해가 있는데요. 렌터카 유사 모델 타다는 100만 대 렌터카가 시장에 풀리는 것에 대해서 이번 상생안에서 제외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게 맞고요. 그다음에 차량을 렌터카를 임대하는 방안은 국토부는 추후로 넘기기로 했다. 그러면 현재로서는 렌터카 유상 영업을 상징하는 모델로 상징하기 때문에 우리가 저희가 반대했고요. <br /> <br />현재 비주류 소수 타다 모델이 혁신도 아니면서 시장 질서를 교란시키고 있는 점은 깨끗이 지워야 갈등의 씨앗이 사라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정부가 이제 대안이라고 할까요. <br /> <br />그 하나로 플랫폼 사업자에게 기여금을 받겠다. 그리고 기여금을 관리하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겠다라고 대책을 밝히기는 했습니다. <br /> <br />어떻게 활용해야 좀 현명하게 활용한다라고 생각하시나요? <br /> <br />[국철희] <br />예를 들면 대기업 타다는 자본이 많고요. 돈이 문제가 아니고요. 공짜면허를 일거에 수만 대를 확보하려는 거에 대한 아쉬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요. <br /> <br />나머지 스타트업들은 기여금도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단 저희가 총량제 범위 내에서 애써 이룩한 감차법을 허물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자고 이야기했고요. <br /> <br />그 운송법의 틀을, 택시특가법의 틀을 허물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연착륙 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사실 택시가 많아서 초과되고 있다는 거 아닙니까? 공급이. <br /> <br />[국철희] <br />그렇죠. <br /> <br /> <br />그래서 어느 정도 감차를 해야 하는데 결국 플랫폼 업계에서 기여금을 받아다가 그 감차하는 구조조정 기금으로 삼겠다, 결국 이런 이야기가 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국철희] <br />꼭 그런 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71719555149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